[9월 제주 가볼만한곳] 제주에서만 할 수 있는 찐 제주찾기!!! 제주를 바로 알고 즐기다! > 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전국동기회


전국 | [9월 제주 가볼만한곳] 제주에서만 할 수 있는 찐 제주찾기!!! 제주를 바로 알고 즐기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Kenneth 작성일2024-08-30 03:26 조회215회 댓글0건

본문

교토 부산고구려$ 국제고등학교가 갑자원( 고시엔) 전국 고등학교 야구대회에서 우승을 했다.재일 조선인에 의해 설립된 국제고는 전교생이 160명 밖에 안되는 학교이다.​BC 663년 백제부흥운동의 백강구 전투에서 백제군 5,000명, 왜군 42,000명이나,당 연합군 18만명 ( 신라 5만명, 당군 13만명) 패하며, 백제는 역사속으로사라졌다.​백제의 멸망으로 대거 백제인들이 일본 열도로 건너갔다.이들 백제계 도래인으로 인해 일본의 고대국가의 틀을 다지게 되었다. BC 4세기초 야마토&quot(나라현)일본으로 건너간 백제인들.​​임진왜란부터 한일합병까지 타인에 의해 일본으로 끌려온 조선인,현재 일본에 거주하는 재일동포는 80만명이나 된다. ​일본에 의한 차별과 박해를받은 재일 조선인들은 교토국제교의 고시엔(갑자원) 대회 야구우승으로 그들의 설움을 한방에 날려 버렸고 고시엔(갑자원)야구장에서 한국어로 된 교가를목놓아 불렀다. 동해바다 건너서 야마토(대화) 땅은 거룩한 우리 조상 옛적 꿈자리 ~여기서 야마토땅은 백제인들이 세운 정권이다. 교토 국제고등학교 야구 선수들이 고시엔(갑자원)야구대회에서 우승하며, 한국어로 부른 교가가 큰 반향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동해바다 건너 야마토(대화)땅은 어디인가?백제 (KUDARA,구다라) , 백제는 고대의 원조 한류라고 볼수가 있다.​삼국시대, 고구려,백제,신라가 정립하는 시기에는 한반도에는 각각 다른 왕조국가로 민족에 대한 정체성들은 없었다.백제왕 신사.백제사 ( 일본 나라현)미야자키 백제 신사로 가는 길의 천하대장군미야자키 신사로 가는 길의 천하대장군법륭사 (호류사), 고구려 담징인 그린 법륭사 금당벽화가 있다.일본 법륭사 금당벽화법륭사 금당벽화, 고구려 담징일본 군마현에 있는 가나이히가시우라는 6세기 초 하루나 화산의 폭발로 흔적을 고스란히 간직한 마을 중 하나다. ​이곳에서는 특히 백제의 몽촌토성에서 출토된 사슴뼈 비늘갑옷이 발견돼 비상한 관심을 끌었다.​왼쪽은 몽촌토성에서 나온 갑옷의 복원 모습이며, 오른쪽 위는 가나이히가시우라, 아래는 몽촌토성의 갑옷 출토 당시 모습이다(권오영 교수 제공)​하루나 화산 폭발로 묻히기 전의 구로이미네 유적지를 복원한 모형. 권오영 교수 제공​​​이런 유적을 왜 우리가 알아야 하는가? ​고대 한일관계사와도 연결되기 때문이다.​2012년 11월 군마현의 학자들은 지하에 쌓여 있는 3m 두께의 Hr-FP 경석과 그 아래의 Hr-FA 화산재를 차례로 걷어내면서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한 4명의 흔적을 찾아냈다. 그중 철제 비늘갑옷(철판을 작게 잘라서 생선 비늘처럼 엮은 갑옷)을 입은 사내는 쇠창, 많은 화살촉, 그리고 또 한 벌의 비늘갑옷을 들고 가던 중 사고를 당한 것으로 밝혀졌다.​남자는 지면에 철제 투구를 놓고 그 위에 이마를 댄 채 화산의 반대편 낮은 쪽을 향해 마치 절하듯이 엎드린 자세였다. 돌과 유리로 만든 멋진 장신구를 머리와 허리에 패용한 채 숨진 여성은 부인으로 추정되는데 역시 엎드린 채 사망하였다.​화산학자들과 고고학자들의 공동연구에 의해 Hr-FA는 총 15회에 걸쳐 분화가 반복되었는데, 이들은 두번째 분화까지만 하더라도 목숨을 유지하였으나 세번째 분화에 모두 절명하였음이 밝혀졌다.​가나이히가시우라(金井東裏)라는 다소 긴 이름이 붙게 된 이 유적은 한 가족의 비극적인 죽음으로 인해서 유명해졌지만, 연구가 진행될수록 더욱 놀라운 사실을 쏟아냈다.​남자가 들고 가던 갑옷은 입고 있던 갑옷과 마찬가지로 쇠로 만든 비늘을 엮어 만든 것인데, 가슴 부위에 사슴의 뼈를 갈아서 만든 비늘갑옷 한 벌을 포개어 놓은 상태였다. 이러한 동물 뼈 비늘갑옷은 일본에서 발견된 적이 없다.​오직 한국의 서울 몽촌토성에서 발견된 적이 있을 뿐이다. 규슈나 오사카도 아니고 백제 왕성에서 유일한 비교대상이 출토되었으니 일본 학계의 관심이 쏠리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군마지역은 5세기부터 6세기에 걸쳐 신라와 백제의 유물이 많이 출토되는 곳이다. 오래전부터 백제 계통의 토기와 유리, 신라 계통의 금동관과 신발, 마구, 가야 계통의 귀걸이 등이 발견되었다. 한반도계 유물이 발견되는 배경을 두고서는 이 지역의 우두머리인 가미쓰케 일족이 4세기부터 7세기까지 수차례 한반도에 출병하였다는 ;의 기록을 중시하여, 이때 신라인들을 포로로 잡아왔다는 주장이 있었다.​하지만 발굴조사가 진행될수록 한반도의 주민들이 포로로 잡혀온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가미쓰케 부산고구려$ 일족이 선진 문물을 얻기 위해 노력하였고, 한반도계 이주민이 군마지역에 적극적으로 이주, 정착, 활동한 사실이 밝혀졌다. ​​군마라는 지명에서도 알 수 있듯이 말을 키우는 목마장으로 유명한 이곳에 말이 들어오게 된 배경에 한반도계 주민들의 활약이 있었음도 밝혀졌다. 이런 상황에서 백제풍의 사슴뼈 비늘갑옷이 출토되었으니 일본 학계의 관심이 쏠리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한겨례. 2019.3.9/ 권오영의 21세기 고대사,6세기초 하루나 화산 폭발 인한 군마 가나이히가시우라 유적)대한민국 서울 몽촌토성에서 출토된 비닐 갑옷​​뼈로 만든 비늘갑옷(骨製札甲)​몽촌토성에서 출토된 뼈로 만든 비늘갑옷이다. 동물의 뼈 중 단단하고 두꺼운 부분으로 조각을 만들고 구멍을 뚫어 다른 조각과 연결해 갑옷을 만든 것으로 소뼈를 이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가죽 갑옷보다는 방어력이 높고 쇠갑옷에 비해 가볍고 활동성이 커서 신분이 높은 사람이 착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쇠로 만든 예는 다수 확인되나 뼈로 된 것은 출토 사례가 적어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폭 43cm(각 소찰크기 10.7×2.9cm)​​칠지도1874년 일본 나라(奈良)현 텐리(天理)시 이소노카미(石上) 신궁의 창고에서 발견된 칠지도(七支刀·사진).​칼의 양날에 세 개씩의 가지가 뻗어있는 74.9㎝의 이 칼은 나중에 칼의 앞·뒷면에 총 60여 개의 상감기법으로 새겨진 글자(銘文·명문)가 드러나면서 칼의 이름과 백제에서 만들어 일본에 건네준 것임을 알게 됐지만, 5개의 글자는 판독이 어려워 제작 시기 및 목적과 배경을 둘러싸고 광개토왕비와 함께 고대 한·일 교류사의 수수께끼가 돼왔다. 1600년을 훌쩍 넘어 일본의 국보인 칠지도가 간직한 비밀은 ‘백제가 왜(倭)에 ‘하사’한 것인가? ‘헌상’한 것인가?’ ​고대부터 대륙과의 교류가 이어졌으며, 역사적으로는 한반도와 왜국·왜인·야마토를 잇는 교통의 요충지였다.​야마토 왕권이 한반도 국가들과 외교관계를 맺거나 혹은 한반도 국가들 사이의 전쟁에 개입, 혹은 한반도 국가에 대한 군사행동을 시도하면서 한반도와의 관계가 여러 각도에서 진전되던 시대로, 수식이 가해진 《일본서기》를 제외하고도 고구려의 광개토대왕비, 《송서》 왜국전, 《삼국사기》를 통해 당시의 상황을 짐작할 수 있다. 쓰시마가 구체적인 지명으로써 등장하는 것은 《일본서기》에서의 일로, 신화적인 진구 황후(神功皇后)의 삼한 정벌 당시 쓰시마 북단에 위치한 와니노쓰(和珥津, 오늘날의 가미쓰시마 정上対馬町 소재 와니우라鰐浦)에서 출항하였으며 돌아오는 길에 여덟 개의 깃발을 와다쓰미 신사(和多都美神社, 오늘날의 쓰시마 가이진 신사海神神社)에 봉납하였다는 것이다[15] 《삼국사기》 신라본기 실성 이사금(実聖尼師今) 7년(408년)조에는 왜인이 신라를 습격하기 위해서 쓰시마 섬 안에 군영을 설치한다는 소식이 전해졌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렇듯 쓰시마는 야마토 왕권이 한반도로 가는 중계지로써의 역할을 맡고 있었다.​덴지 2년(663년) 백강구 전투 이후 왜국은 당과 신라의 침공에 대비해 이듬해 쓰시마에 사키모리(防人)를 배치하고 여덟 곳의 도부히를 배치하였다. 백강구 전투서기 663년 8월 백제 부흥운동의 성공여부를 결정짓는 대사건이 백강구(백촌강)에서 발생한다. 백강구는 지금의 전북 동진강 하구, 즉 새만금간척지구이다.​백제의 부흥 운동 주류성에서 진을 친 백제군 5,000명과 왜에서 파견된 42,000의 백강구 전투( 지금의 동진강 하구로 추정 된다)에서 나,당 연합군에 맞섰으나 참패를 당하면서 백제의 부흥운동은 끝이 났고, 백제는 역사속으로 사라졌다.​당 전선 170척과 야마토(대화) 전선 1,000척이 맞붙어 결과는 야마토 전선 400척이 침몰하며 신라와 당의 승리로 끝난다.​「삼국사기」는 ‘백강구에서 왜의 군사를 만나 4번 싸워 모두 이기고 배 400척을 불사르니 연기와 불꽃이 하늘을 덮고 바닷물도 붉게 물들었다(遇倭人白江口 四戰皆克 焚其舟四百艘 煙炎灼天 海水爲丹)’고 짤막하게 기록하나 「일본서기」는 비교적 전투내용을 상세히 전한다.​야마토의 결정적 패인은 백제 풍왕과 야마토 장수들이 바람을 제대로 읽지 못한 탓이다. 당은 화공작전을 펴 협소한 공간에 밀집되어 있는 야마토 전선을 일거에 불태운다. 이로 인해 야마토는 전선 뿐 아니라 수천의 군사가 수장되는 대 참사를 겪는다.​그런데 이 사건을 평가하는 일본의 해석이 참으로 어처구니 없다. 일본은 야마토가 자신의 속국인 백제를 구원하기 부산고구려$ 위한 것이라든가 또는 백제가 망하게 되면 조공을 받을 수 없다는 등의 자기중심적인 편협한 시각을 여과 없이 드러낸다.(역사 왜곡)​한 발 더 나아가 대륙(중국)과 동등한 일본이 한반도의 위에 서기 위해 대국 일본이라는 꿈을 갖고 정치적 우위를 달성하려는, 또는 그러한 관계를 만들기 위한 군사개입으로 설명한다. 참 표현도 애매모호하게 잘도 만든다. 특히 백강구전투의 본질은 당중심의 대(大)제국주의와 일본중심의 소(小)제국주의가 충돌한 소위 ‘고대 제국주의 전쟁론’이라고 주장한다. 일본의 제국주의 병은 어떤 의사도 고칠 수 없는가 보다. 이제 드러내놓고 옛날에도 병이 걸렸었다고 말한다. 그러나 이는 본말이 전도되어도 너무 전도된다. 전쟁의 실제 주인공인 백제는 어디론가 사라지고 일본과 당의 전쟁으로 변질된다. 백제는 장소만 제공하고 불구경했다는 얘기가 된다. 물론 이 사건의 여파로 한반도의 한 축인 백제가 역사 밖으로 밀려나며 동아시아 질서는 재편된다.주류성.주류성-백제 부흥운동의 성으로 알려지는 주류성周留城/주류성 성벽​일본서기 나 구당서에 의하면 주류성은 백강과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있다.농토와는 거리가 멀고 땅은 척박하다.​​충남 서천군 한산에 있는 건지산성이 주류성일 가능성?건지산성 안내도충남 서천의 건지산성건지산성 ( 충남 서천군 한산면 호암리) , 내각의 둘레 350M , 외곽의 둘레는 1,300M , 건지산 정상부를 둘러싼 말안장 모양으로 흙을 쌓은 내곽과 서북쪽의 계곡을 두른 돌과 흙으로 쌓은 이중 구조의 산성.​​​건지산성 외성.무너진 외성 토축 성벽(건지산성)​건지산 남, 북 정상부와 계곡을 따라 긴 토축 성벽이 있다. 백제시대 쌓은 것으로 알려진 건지산성이다. 한산의 위치는 임천 성흥산성처럼 금강 하구 교통요지다. 건지산성은 금강과 매우 가깝다. 금강을 타고 침입해오는 외적을 지키는 길목이다. 삼국통일전쟁 시기 금강 하구 방어는 사비를 지키는 일이기도 했다. ​금강은 백제 수도의 관문이었기 때문이다. 백제로서는 금강을 방어하는 건지산성의 중요성을 일찍이 터득했을 것이다. 침략자를 왜구 등 국외로 돌리면 산성은 백제시대뿐만 기능하지 않았을 터이다. 통일신라, 고려, 조선조에서도 군사적 요충지로 활용된 기록이 남아 있다. ‘세조실록지리지’에 따르면 ‘충청도 한산군 서쪽 1리에 있다. 험하고 가파른 지세에 쌓은 둘레 5,377보 또는 3,061척이다 성 안에 여름, 겨울 마르지 않는 샘 5~7개소, 연못 1 곳 및 군창이 있었다’고 기록돼 있다. 건지산성은 백제 동성 왕 8년에 쌓았다고 전해진다. 산 모양이 소머리를 닮아 우두성(牛頭城)이라고도 불렸다고 한다. 백제 무왕 30년 한 차례 수축이 이뤄진다. 이때 산성 이름이 마산성(馬山城)으로 바뀌게 된다. 이는 의자왕 15년(655)까지 불려진다. 이는 18세기 조선조 편찬한 ‘한산군지’에 자세히 기록돼 있다. 건지산성이 백제 부흥 운동군 거점이었던 주류성이라는 학설도 있다. 그러나 당산성, 위금안산성, 두승산성, 성흥산성 등도 비정되는 만큼 분명치 않다.​산성 형태는 일부 성벽이 산봉우리를 둘러싸 테뫼식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계곡을 감싸 안은 구간이 많다. 포곡식(包谷式)을 아우른 산성으로 분류된다. 발굴조사 자료에 따르면 테뫼식 산성은 350m, 포곡식 산성은 1,384m에 이른다고 한다. 계곡 쪽 성곽 일부는 1999년 발굴조사가 이뤄졌다.​당시 고려시대 한산군 치소이자 고읍성으로 활용된 흔적이 역력했다고 한다. 산성은 전체적으로 내성과 외성 2중 구조를 보인다. 이런 형태는 백제시대 등장한 새로운 산성 구조다. 또 성안에서는 백제 시대 유물도 수습됐다. 이 때문에 삼국시대 산성이 고려이후까지 사용됐다는 점을 유추해볼 수 있다. 내성은 마안형(馬鞍形) 정상부에 길이 150m, 너비 30m 둘레 350m로 규모다. 축성 면적이 매우 비좁다. 성벽은 주로 고대 축조양식 토축이다. 외성은 토석 혼축양식이다. 북서쪽은 달리 성벽이 없고 자연암벽을 그대로 방어 시설로 삼았다. 서쪽 성벽에서는 산을 깎아 내고 돌과 흙을 채워 넣은 내탁식 축조기법도 보인다. 외성의 성벽은 둘레만 해도 부산고구려$ 1.3km로 규모가 제법 크다. ​천연암벽은 경사진 북서쪽에 치우쳐 있다. 때문에 산성의 윤곽은 북서쪽에서 뚜렷하게 확인된다. 성 안에서는 건물 터 5개소와 조선시대 군창 터, 서문 터와 수문 터가 남아 있다. 모두 산성 한가운데를 가로지르는 도로 북쪽에 가깝다. 유물은 기와 조각, 분청사기, 백자, 토기, 상평통보 등이다. 성곽의 기능이 조선시대까지 지속된 것으로 보인다. 산성 안에는 봉서사라는 사찰이 있다. 서쪽 건물 터에서는 탄화미와 백제 토기조각이 출토되었다. ​산성의 남서쪽 작은 봉우리에도 작은 성 터가 확인됐다. 금강 쪽을 바라보는 위치다. 감시기능을 수행하는 보루 터로 여겨진다. ;​​​건지산성( 충남 서천)건지산성.​​산이 험준하고 계곡이 좁아 지키기는 쉽고 공략은 어려운 난공불락의 요새이다.​백강구전투 패배로 사실상 백제수복운동은 종지부를 찍는다. 수복운동의 본거지인 주류성이 곧바로 함락되며 수많은 백제유민이 일본 열도로 건너간다. 당시 고향을 등지는 유민의 피맺힌 절규가 「일본서기」에 나온다.​“백제의 이름이 오늘로 끊어졌으니 어찌 조상의 무덤이 있는 곳에 다시 돌아갈 수 있단 말인가?(百濟之名絶于今日 丘墓之所 豈能復往).” 역사는 이들 망명객 후손이 다시 고향으로 돌아왔다고 기록한다. 백제수복운동의 좌절은 일본열도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온다. ​나,당연합군의 침략에 대비해 북규슈에서 수도가 있는 오사카지역에 이르는 주요 길목에 백제식 산성들을 쌓는다.​이후 일본으로 국호를 바꾸고 본격적으로 ‘일본화 과정’에 돌입한다. 백제의 틀을 바탕으로 일본식 만들기에 몰두한다. 율령을 제정하고 호적을 정리하며 중앙집권화를 강화하고 불교문화를 꽃피운다. 일본 나라시대(서기 710년~794년)가 활짝 만개한다.일본열도 백제식 산성 축조​ 이 모든 변화의 촉발은 백제 멸망으로부터 시작한다. 백제인에 의해 일본역사는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고 또한 새롭게 써지기 시작한다.;​백제인들은 백강구 전투를 끝으로 대거 왜&quot로 이주를 해서 고구려 한성공격 후 부터 고구려 점령지의 백제인들이 왜로 건너가서 야마토정권을 만들고 아스카문화를 만드는 주역이 되었다 한다대표적인 백제계 호족의 강력한 소아씨는 덴노 외척으로 약100년간 일본 조정을 장악 하였다고 한다.​​백강구 전투, 나,당 연합군에 의해 벡제가 멸망을 하자, 왜군들은 쓰시마(대마도)에서 BC 663년 백제군 5,000명, 왜군 42,000명, 신라군 50,000명, 당나라군 13만명이 금강 하구의 백강에서 맞붙은 동아시아 최초의 국제전이다.​당시 동원된 왜군이 42,000명 병력이 배 1,000척이 동원되었으나, 나,당 연합군에 의해 400척이 불태워 진다.​백제는 백강구 전투의 패배로 역사속으로 사라진다.백강 전투의 패배로 백제인들이 대거 일본열도로 건너 갔다.BC 670년 왜는 국호를 &quot일본으로 변경하였다.​한반도에서 신라가 멸망하고 고려가 건국된 뒤인 간닌 3년(1019년) 정체를 알 수 없는 적선 50척이 쓰시마를 습격했는데, 기록에 따르면 이들에게 살해된 자가 365명, 납치된 자는 1,289명에 달했고 유명하던 쓰시마 은광도 소실되었다. 피해는 쓰시마뿐만 아니라 이키와 기타큐슈에까지 뻗쳤는데, 일본인들을 포로로 잡아가면서 노약자는 죽여서 바다에 던져버리기까지 했던 이들의 정체에 대해 당시 일본 조정은 포로로 잡힌 해적 세 명이 고려인임을 들어 고려의 침공이라 간주했으나, 이들 해적들이 동해상에서 고려 진명선병도부서(鎭溟船兵都部署) 소속 수군 선단에 의해 나포되고 해적에 잡혀 있던 일본인 포로들이 구출되어 고려의 김해부를 거쳐 일본으로 송환되었고, 송환을 맡았던 고려인과 포로로 잡혀 있다 구출된 일본인들을 통해 이들이 고려인이 아니라 도이(刀伊)라 불리던 여진족임이 알려졌다. ​이들 여진족 해적의 포로가 된 자들 가운데는 쓰시마의 한간다이(判官代) 나가미네노 모로치카(長嶺諸近)도 있었는데, 일족과 함께 도이들에게 포로로 잡힌 모로치카는 홀로 빠져나와 도망치는 데 성공했으나 처자를 찾기 위해 고려에 갔다가 도이들에게 붙잡힌 일본인 포로의 비참한 처지를 전해듣고 귀국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이 사건은 도이의 입구(刀伊の入寇)라 불리고 있다.;1557년 제작 , 조선방역지도 제주도와 대마도가 조선의 영역으로 표시 되어 있다.둥근 원안이 대마도 이다.쓰시마섬(対馬つしま)은 한반도와 규슈 사이의 대한해협 가운데에 있는 일본의 섬이다. 대한민국에서는 한국 부산고구려$ 한자식인 대마도(對馬島)라는 이름으로 많이 불린다.쓰시마 섬의 면적은 696.1 km2로 대한민국 제주도의 8분의 3, 거제도의 1.8배 정도 크기이며, 인구는 약 2만8천명이다.대마도 1956년부터 항공자위대 우니시마 분둔기지(海栗島分屯基地)가 설치되어 1961년부터 육상자위대의 쓰시마 주둔지(対馬駐屯地)도 설치되었고 쓰시마 경비대로 발전하였다. 또한 메이지 시대에는 일본 해군의 시설이 설치되기도 하였으며 2019년에는 일본 해상자위대 쓰시마 방비대(対馬防備隊)도 소재하고 있다. 해상 자위대 병력은 약 200명으로 고속정을 운용하고 있다.​육상자위대 1개 중대 병력인 쓰시마 경비대(対馬警備隊)가 있으며, 병력은 약 350명 정도로, 1962년부터 주둔한 부대이다. 중대 규모의 병력인데 부대장이 1등육좌(대령)다.​대마도(쓰시마) 경비대레인저 훈련을 받은 1개 소대가 있으며, 보유한 화기의 수준도 상당하다.81mm 박격포,중박격포 취급받는 120mm 박격포, 가와사키 사에서 개발한 중거리 대전차미사일까지 있다.해상자위대, 대마도 방비대 본부일본 항공자위대 대마도 동쪽 우니시마 작은 섬 파견기지 부산에서 직선거리로 50km의 거리에 있다. 레이더 돔과 헬리콥터 기지가 있다.우니시마 기지대마도 우니시마 기지의 돔형 레이더로 해상의 배들과 한반도를 감시 하고 있다.​​최신 레이더인 J/FPS-7을 설치하고 탐지거리만 500km라 남한 전역의 탐지가 가능하다. 레이더사이트엔 약 100여명의 병력이 주둔하고 있다.​​한국이 사거리 연장탄을 사용해서 K-9 자주포의 대마도로 사격을 한다면 사정거리 안에까지 있어 , 만약 한일전쟁이 터진다면 높은 확률로 박살난다.​​​​도래인-바다 건너 왜로 온 사람들야마토(대화)고대 백제가 일본의 고대 국가 형성에 도움을 주고 황실의 일원으로 일본 사회를지배 해온 것은 팩크이다.아키히또 일본 국왕 2001년 아키히토 일왕의 무령왕 관련 발언 2004년 8월 3일에는 아키히토 일왕의 5촌 당숙이자 일본 왕족인 아사카노 마사히코(朝香誠彦) 가 수행원과 친척 2명만 데리고 무령왕릉을 직접 찾아 참배하며 제사.비공식적으로 일왕가가 백제 왕릉 제사시 왕실차원에서 공물을 보내는 사례도 있음.​“나 자신으로서는 간무 천황(50대 일왕·737∼806·재위 781∼806년)의 생모(生母)가 (백제) 무령왕의 자손이라고 ‘속일본기(續日本紀)’에 기록돼 있어 한국과의 인연을 느끼고 있습니다.” ​2001년 12월 18일, 아키히토는 68세 생일 기자 회견에서 다음해에 열리는 2002년 한일 월드컵 공동 개최와 관련하여 한국에 대해 역사적, 지리적인 관심이나 생각을 묻는 질문에 답변하면서 천황의 모계 혈통이 백제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직접 언급했다. 아키히토 천황은 자신의 선조인 간무 천황의 어머니 다카노노 니가사(高野新笠)가 백제 무령왕의 10대손이라는 《속일본기》의 내용을 인용했다.일본과 한국 사람들 사이에는 옛날부터 깊은 교류가 있었다고 《일본서기》 등에 자세히 적혀 있습니다.한국으로부터 이주해 온 사람들과 초빙되어 온 사람들에 의해 다양한 문화와 기술이 전해졌습니다.궁내청 악부(樂部)의 악사들 중에는당시 이주해온 사람의 자손 중 대대로 악사 일에 종사하며지금도 때때로 아악을 연주하고 있는 사람이 있습니다.이러한 문화와 기술이 일본 사람들의 열의와 한국 사람들의 우호적 태도에 의해 일본으로 전해졌다는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라고 생각합니다.이후 일본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나 개인적으로는 간무 천황(桓武天皇)의 생모가 백제 무령왕의 자손이라고《속일본기》에 기록되어 있는 점에서 한국과 인연을 느끼고 있습니다.​무령왕은 일본과 관계가 깊고, 이후 일본에 오경박사가 대대로 초빙되었습니다.​무령왕의 아들 성명왕(성왕)은 일본에 불교를 전파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그러나 안타깝게도 한국과의 교류는 이런 교류만 있던것은 아니었습니다.이 점을 우리는 잊어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2001년 12월 18일 아키히토 일왕 기자회견 무령왕은 삼국시대 백제의 제25대 왕이다. ​이름은 사마(斯摩, 斯麻) 또는 융(隆)이다. 동성왕(東城王)의 둘째아들, 또는 개로왕(蓋鹵王)의 동생인 혼지(混支, 또는 곤지(昆支))의 아들로서 동성왕의 배다른 형이라고도 한다.​재위 기간은 501∼523년이며, 위사좌평 백가가 보낸 자객에 의해 동성왕이 시해되자 그를 이어 즉위했다. 북방정책에 몰두하여 고구려·말갈 등의 침략을 무찌르고 대비책을 강화했으며, 중국 남조의 양과 관계를 강화하는 외교정책을 폈다.​지배귀족들의 전횡을 막고자 좌평제를 폐지하고 22부사제로 행정체제를 바꾸었고, 백성들의 진휼에 힘쓰는 한편 수리시설 정비·확충과 호적체계 정비로 안정적 부산고구려$ 국가 운영의 토대를 마련했다. 한강 유역을 고구려에 빼앗긴 후 혼란에 빠진 백제를 안정시킨 왕으로 평가된다.​충남 공주는 백제의 비밀을 품은 도시이다. 공주에 있는 송산리 고분군(사적 제13호). 공산성에 멀지 않은 낮은 언덕에 자리 잡고 있다. 고분군은 백제 웅진시대 왕과 왕족의 무덤일 거라는 추정은 했지만, 그동안 무참히 도굴되고, 고대사의 비밀을 간직한 채 잠들어 있었다. 그래서 송산리 고분은 1호기부터 7호기까지 차례로 번호로 매겨 놓았다.1971년 7월 한국인들을 깜짝 놀라게 한 기적 같은 무령왕릉의 발굴이다.​장마철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배수로 공사를 하던 6호기분 옆에서 벽돌 무덤의 입구가 발견된 것이다.​송산리 고분 제7호기. 1500여 년 묻혀있던 무령왕릉이 우연히 세상과 만나는 순간이며, 백제의 찬란한 문화가 열리는 계기가 되었고 학자들 사이에는 20세기 한국 고고학 사상 이보다 위대한 발견은 없었다고 평가했다.​발굴조사에서 처음 보게 된 것은 입구에 놓여있던 수호신 진묘수와 지석이었다. 지석을 살펴보는 순간, 삼국시대 무덤 중 무덤의 주인이 누구인지 최초로 정확히 밝혀지는 감격스러운 장면이 연출되었다.​지석에 새겨진 내용은 너무도 뚜렷하게 드러났다.​영동대장군 백제 사마왕이 62세 되는 계묘년(523년) 5월 7일 임진날에 돌아가셔서, 을사년(525년) 8월 12일 갑신년에 이르러 대묘(大墓)에 예를 갖추어 안장하고 이와 같이 기록한다.&quot​백제 사마왕(斯麻王)은 25대 무령왕(武寧王)의 어릴 적 이름으로 무령왕 부분과 완벽하게 일치하였다.6호분의 벽에 그려진 주작도.묘지석​​​공부 송산리 고분, 공주,부여는 땅만 파면 백제시대의 유물들이 쏟아져 나온다.우리의 문화재는 거의 약탈에 의해 다른 나라로 가져 갔다.공주 무령왕능, 도굴로 부터 온전하게 보존이 된 무덤의 주인을 알 수 있는 백제의 무덤이다. 무녕왕릉 발굴 사진무녕왕능 내부 석실출토유물이 5,232점이 출토 되었다. 무녕왕릉이 발견되지 않았으면 일본인들이 주장하는일본의 고대사 왜곡은 덮힐 뻔 했다.금동 신발묘비석동경금동신발금귀거리, 1500년전 금세공 기술이 대단하다. 그 당시의 하이테크 기술이다. 금 목걸이역사는 왜곡을 할 수가 없다. 역사는 긴 고난의 역사를 뒤로하고 이땅에 살아 숨쉰다. 공주 공산성, 나,당 연합둔에 맞서 마지막 까지 저항한 공주 공산성공산성 성주 예식진의 배신으로 의자왕은 항복을 하게 된다.이 공산성에 여러번 가보았지만 난공불락의 요새다. 뒤로는 강이 흐르고 앞의 성벽은높다. ​​​공복루앞에는 금강이 흘러 배를 타고 접근하지 않으면 성으로 올 수가 없다. 공산성 공복루 부근 목곽 창고, 이곳에서 철제 갑옷이 발견되었다.대형 목곽고공산성 출토 漆皮갑옷은 백제 웅진성인 공주 공산성의 백제시대 저수시설 내에서 마갑-무기류-갑옷이 나란히 포개지듯 2세트가 매납된 후, 그 위에 100㎝ 정도 두께의 볏짚이 덮인 상태로 출토되었다.​저수시설의 상면에는 쌀, 조, 밤 등과 말뼈를 포함한 각종 유기물, 그리고 목기가 포함되어 있었으며, 그 위에 건물지 폐기층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마갑-무기류-갑옷으로 구성된 武裝具 2세트를 나란히 저수시설에 매납한 후 그 위를 덮어서 은닉하는 것과 같은 의도적인 행위는 儀禮의 가능성을 추론할 수 있는 고고학적 증거로 판단된다.​특히 칠피갑옷에서 명문이 확인되었는데, 명문은 갑옷을 제작한 이후 별도로 기록한 것이다. 칠피갑옷에서 현재까지 확인된 명문이 있는 소찰은 약 17점을 계량할 수 있다. ​3㎝ 너비의 소찰이 겹쳐서 배치되는 것을 감안하여 1.5~2㎝ 정도가 밖으로 노출된다고 해도, 명문이 기록된 범위는 적어도 가로 약 36㎝×세로 7㎝ 정도이다. 또한 1개의 小札에 완전한 형태로 문자가 확인된 경우 6~7자가 縱書로 배치되는 점을 고려할 때, 6자씩만 計上해도 약 102자 이상의 글자로 구성된 長文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칠피갑옷의 출토 정황상 명문의 위치는 身甲 상단의 표면으로 추론되는데, 결국 갑옷 표면의 한쪽 가슴 부분은 명문으로 가득 차 있었다고 볼 수 있다.​銘文의 전체 내용은 알 수 없으나, 갑옷과 연관된 敍事的인 부산고구려$ 기록을 남긴 것이라는 점을 살필 수 있다. 즉 갑옷 제작의 목적을 살필 수 있는 역사적 정황의 근거가 되는 ‘蓋州’라는 지명과 더불어 갑옷을 제작한 공간으로서의 官署名과 갑옷과 관련된 행위에 참여한 사람들의 官職과 人名, 갑옷을 둘러싼 행위와 관련된 날짜인 貞觀19년(645) 4월 21일 등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하여 백제가 당나라와의 관계에서 645년 갑옷을 만든 후 준비 과정과 행사 등의 전반적인 내용을 기록하여 15년 동안 공산성에 보관해오다가, 660년 7월 18일 의자왕이 당나라에 항복하려고 공주를 떠나기 전에 공산성 저수시설에 매납 했을 가능성을 추론하였다.​ 즉 갑옷의 제작→명문의 작성→갑옷의 매납은 모두 별개의 과정을 거친 행위로 이해하였다.​명문이 있는 칠피갑옷은 한반도에서 처음 출토된 중요한 유물이다.​출처: 公山城 출토 칠피갑옷 銘文資料의 재검토 =Review of inscription data on lacquered leather armor excavated from Gongsan-seong in Gongju / 이현숙 양종국 1,국문초록 1.​​​2011년 '정관 19년'(貞觀十九年·645)'이라는 글자가 적힌 옻칠 갑옷과 말갑옷이 출토된 건물지 북쪽 저수시설에서는 사람과 말에 착장한 각종 갑옷과 화살, 대도(大刀)·장식도(裝飾刀)와 같은 무기류 외에도 목제 칠기도 다양하게 더 발견됐다.​​2011년과 같은 필체의 글자가 적힌 옻칠 갑옷이 확인됐다. 글자는 '參軍事'(참군사) '○作陪戎副'(작배융부) '○人二行左'(인이행좌) '近趙○'(근조○)와 같은 20여 자가 확인됐다.​​저수시설에서는 완전한 형태의 철제 갑옷과 옻칠이 된 말 갑옷인 마갑(馬甲), 말 얼굴 부분을 감싸는 도구인 철제 마면주(馬面胄), 말방울인 마탁(馬鐸), 쇠칼, 화살촉, 철모(鐵牟·창)가 말안장 뒤쪽에 세워 기를 꽂고자 사용한 깃대꽂이와 함께 발견됐다.웅진 도읍기 백제시대 왕성으로 지목되기도 하는 공주 공산성에서 원래 상태를 잘 유지한 백제시대 대형 목곽고(木槨庫)가 확인됐다. 그 안에서는 복숭아씨, 박씨와 같은 식생활 자료를 비롯해 저울용 석제 추, 나무망치 등 생활용품이 다수 수습됐다.고대 삼국시대 한반도의 한 축을 담당했던 했던 고대국가 백제&quot비록 나,당 연합군에 의해 BC 660에 멸망을 했지만 그들이 이 땅에 남긴유적과 유물들은 우리들에게 높은 문화수준을 가진 고대국가였다는 사실을알게 해준다.​백제인들이 멸망하자 바다를 건너 일본 열도로 대거 이주하였고, 일본의 고대국가 형성에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일본은 역사왜곡을 통해 임나일본부설을 주장하지만 그것은 근거가 없다. 임진왜란+정유재란( 1592~1598),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우리의 소중한 문화재가 약탈을 당하거나 도굴에 의해 일본에 거의 보관이 되어 있다.​무녕왕의 자손들이 고대 일본 황실의 한축을 담당하면서 일본 사회의 주류로 성장을하였다. 지금도 대부분의 재일 한국인들이 일본으로 귀화하거나 3~4세를 거치면서민족의 정체성은 엽어졌으나, 아직도 일본 곳곳에 백제의 유물과 유적들이 살아 숨쉬고있어 역사왜곡은 설득력을 잃고 있다.​くだら (百済)=큰나라의 뜻​백제는 원래는 기록 상으로는 '구타라(kutara)'라고 남아 있던 것이, 어느 때부턴가 유성음화되어 '구다라(kudara)'가 되었다.​역사속의 한류​동영상:KBS역사스페셜, 1,400년의 한류 구다라 열풍(2005.9.16)​일본은 왜 백제를 ‘하쿠사이’가 아닌 ‘구다라’라고 하는가? ​백제라는 한자를 일본식으로 읽으면 ‘햐쿠사이’다. 그런데 일본은 왜 백제를 ‘구다라’라고 하는가? 일본국사사전에는 ‘구다라’가 고대한일관계를 암시한다는 설명이 실려있다. ​우에다 마사하키 교수는 구다라는 ‘큰 나라’에서 온 것으로 추정한다. 당시 중국뿐만 아니라 동남아, 인도를 아우르는 세계적 교역망을 갖췄던 백제! 고대 일본에 있어서 백제는 각종 선진문물의 창구이자 선망의 나라.​고대 일본에서 불었던 백제류(백제 문화), 백제의 일본식 발음 &quot구다라(백제)라 부른다. 구다라는 일본어로 하면 하쿠사이라고 읽어야 되는데 일본에서는백제를 구다라(KUDARA)라 불렀다.즉, 큰나라라는 뜻이다ㆍ​구다라, 고대 일본과 백제의 수수께끼는 무엇일까?오사카에서는 지금도 구다라(백제)라는 말이 널리 쓰이고 있다.구다라는 말의 의미는 백제에 대한 일본인들의 생각을 읽을 수가 있다고 말한다.고대 일본인들은 백제를 큰 나라로 보았다.​5세기 고대 일본집의 형태 오사카 나라현 유적발굴 현장에서 집터가 발견이 되었다. 공주 정지산에서 일본과 똑같은 형태의 집터가 발견 되었다.한반도에서는 유일하게 백제지역에서만 보여지는 건물이다. 건물 안쪽으로 박혀 부산고구려$ 있는 무수한 돌들은 온돌이다.온돌(ONDOL), ​일본으로 건너간 백제계 도래인들이 대벽 건물을 짖고 생활했다.부두막과 시루가 발견이 되고 있다.주거문화,주방문화,음식문화까지 변하게 했다.움집형태의 건물에서 대벽형태의 건물로 변했다.​시루의 등장, 아스카, 백제옷이 일본에 전해짐을 보여주는 유적이 있다. ​아스카 작은마을의 신사에 옷에 신이 모셔져 있다. 이곳에 모셔진 신은 백제에서 건너간 부부다.이 일대는 백제에서 건너 온 의복기술자들이 모여 살았다.성덕태자의 천수국수장의 옷이 백제식 옷이다.성덕태자(쇼토크 태자)​​옷깃을 여미고 치마에는 주름을 넣고 화려한 색으로 염색을 했다.​오사카문화재 센터에 보관이 되어 있다. 오사카마을에서 베틀이 발견 되었다.BC 461-530년 사이에 사용한 베틀로 추정을 한다. ​염료기술의 흔적이 후지노끼 고분에 남아 있다. 화려한 금동마구가 발견이 되었다.​염료기술과 관련된 유물이 발견되었다. 관안에서 꽃씨가 발견 되었다.​비단, 화려한 염색을 한 백제 옷, 일본사람들에게는 선망의 대상이 되었다.​​고대 한국에서 건너간 왕족이나 호족에 고분으로 추정되고 있는 일본 나라 지방에 후지노끼 고분 석관이 오늘 개관됐습니다.​발견된 지 3년 만에 처음으로 개관된 석관에서는 화려한 금동제에 신발과, 요패, 옥귀걸이, 원통형 동제품, 그리고 대도등 많은 유물과 두골 일부가 발견됐는데 유물들이 거의 원형에 가까운 상태로 보존돼 있었습니다.​일본 고고학 관계자들은 높은 신분을 상징하는 금동제 신발등 부장품과 그 부장품에 무늬가 신라 백제 고분에서 출토된 유물들과 공통점이 많은데 따라서 이 고분에 주인공이 고대 한반도에서 건너온 왕족이나 호족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후지노끼 고분)​백제에서 일본으로 전해진 낙타,앵무새- 한반도에 서식하지 않는 동물들을 일본에 전해주었을까? ​백제 금동대향로, 아스카 왕궁, 연못터 - 고대 일본의 왕궁 정원에서 낙타와 앵무새같은 휘귀한동물들을 사육했을 것이라 일본 학자들은 추정을 한다.​BC 6세기초 일본은 유리를 만드는 기술이 없었다.무녕왕릉에서 유리구술이 출토 되있다. 중국을 지나 동남아시아까지 백제가교역을 했음을 보여 준다. 백제의 교역 루트​오사카 저수지 1,400년전에 이 저수지가 만들어 졌다. 오사카 저수지,협산지​습지대인 오사카 지역은 제방을 쌓기도 어렵다. 백제의 토목기술, 부엽공법&quot이다, 부엽공법. 2세기 초부터 보였던 백제의 부엽공법.​저수지에 저장된 물을 인근 마을 로 보내주는 지하수로, 수로를 통해 물이 공급되면서 오사카일대는 농경지로 탈바꿈 한다. 백제인들에 의해 오사카는 경제 기반이되는 핵심도시로 백제인들에 의해 탄생을 했다.​오사카 일대에 백제인들이 대거 거주하게 된다.일본 고대국가 백제인의 흔적들이 곳곳에 남아 있다.동대사,아스카사 사찰등은 백제의 건축기술로 지어 졌다.소가씨 가문,당대 최고의 권력가 소가씨가 백제계 인물로 알려지고 있다.일본 서기- 목만치, 소가만치라는 이름이 등장 한다.일본 사서- 일본 정부의 창고 관리자. 소가씨가 맡은 창고, 백제로 부터 들어오는선진 문물의 창고(재정관리) 역할. 백제에서 가져오는 문물을 소가씨가 관리하며서​1999년 나라의 대규모 발굴, 아스카 시대의 대규모 절터가 발견되었다.이절의 이름이 백제대사&quot639년 천황이 백제대궁(궁궐)과 백제대사(절)를 지으라고 명했다.일본서기- 천황은 백제대궁으로 거처를 옮긴다.일본 천황은 백제대사에 9층탑을 세우라고 명했다.고대 일본에 불었던 구다라(백제) 열풍! 구다라 , 즉 큰나라라로 여겼다.구다라(Kudara)=큰 나라​​교토 국제고등학교의 교가에 나오는 그 내용은 백제인들이 세운 야마토 땅(나라)을 가르킨다.​약 400년 동안 조선인들은 갈길을 잃고 혼돈속에 빠져 있었다.​많은 한국인들이 일본으로 여행을 간다. 그냥 먹고 마시고 구경하기 보다는 고대 백제의 흔적을 찿아 떠나는 여행도 좋다.​​2024년 오늘 한국인들은 과거 고대국가 백제와 같은 구다라(큰 나라) 같은 열풍인 한류(KOREA WAVE)로 대한민국이 부상하고 있다. ​​​#교토국제고등학교#고시엔우승#갑자원야구대회#구다라#백제#야마토땅#우리의자세#역사인식#정체성​​​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