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 똑똑해진 국민들
페이지 정보
작성자 Ava 작성일2025-02-06 14:20 조회13회 댓글0건본문
5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국내 투자자의 아이온큐 보관 금액은 25억4310만달러(약 3조7403억원)다. 시가총액 85억4500만달러 중 29.7%에 육박한다. 아이온큐는 한국계 김정상 듀크대 교수가 창업한 양자컴퓨터 개발 기업이다. 2021년 미국 뉴욕증시 상장 때부터 한국인이 꾸준히 사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양자컴퓨터가 새로운 주도 업종으로 꼽히며 주가는 작년에만 237% 올랐다.
트렌드에 민감한 서학개미는 단기 급등한 미국 중소형주 비중을 빠르게 늘리고 있다. 또 다른 양자컴퓨터 회사 리게티컴퓨팅의 국내 투자자 보유액은 5억1214만달러다. 한국인 보유 비중은 16%로 집계됐다. 이 종목 주가는 작년에만 열다섯 배 넘게 뛰었다. 소형모듈원전(SMR) 오남역 서희스타힐스 관련주인 뉴스케일파워의 한국인 보유 비중은 8.5%다. 작년 수익률은 445%였다. 한국인 ‘벼락부자’가 다수 탄생한 배경이다.
서학개미는 단일 종목 주가 등락률 대비 두세 배 수익을 추종하는 초고위험 ETF 시장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테슬라 하루 수익률의 두 배를 추종하는 ‘디렉시온 데일리 테슬라 불 2X ETF’(TSLL)의 국내 투자자 보유액은 21억2481만달러에 이른다. TSLL 시총(51억6380만달러)의 약 41.1%다.
ICE반도체지수의 하루 수익률을 세 배로 반영하는 ‘디렉시온 세미컨덕터 불 3X ETF’(SOXL)의 국내 보유액은 18억5783만달러다. 한국인 보유 비중은 19%다. 미국 장기채 수익률을 세 배로 추종하는 ‘디렉시온 데일리 만기 20년 이상 미국 국채 불 3X ETF’(TMF)의 보유 비중 역시 18.9%다. 다만 이 상품 수익률은 썩 좋지 않다. 미국 국채 금리가 뛰어 작년에만 38% 하락했다.
암호화폐 관련 시장에서도 국내 투자자는 큰손으로 자리 잡고 있다.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암호화폐로 불리는 리플은 작년에만 238% 급등했다.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FIU)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기준 국내 원화 거래소에서 리플 시총은 5조8800억원으로, 전체 리플 시총의 약 16%에 달했다. 비트코인 선물지수 수익률을 2배로 따르는 ‘2X 비트코인 스트래티지 ETF’(BITX)의 국내 투자자 보유액도 7억2619만달러로, 전체 시총 대비 보유 비중은 21%에 이른다. 한국 증시에 비트코인 현물·선물 관련 ETF 상장이 금지된 사이 국내 투자자들이 해외 시장으로 떠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국내 투자자가 해외 레버리지 ETF 큰손이 된 이유로 초고위험 ETF의 국내 상장 금지가 첫손에 꼽힌다. 국내 증시엔 세 배 레버리지·인버스, 단일 종목 두 배 레버리지 등의 상품을 상장할 수 없다. 한 종목 비중이 30%를 넘을 수 없게 한 당국 규제 때문이다. 또 국내 레버리지 ETF는 기본예탁금 1000만원, 금융투자협회 사전 교육 이수 등 진입 장벽이 있지만 해외 ETF엔 이런 규제가 없다.
전문가들은 초고위험 ETF에 대한 투자자 보호 조치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초고위험 ETF의 해외 직접 투자가 급증하고 있어 안전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 운용업계 관계자는 “해외 주식을 국내 주식만큼 쉽게 살 수 있을 정도로 접근성이 개선됐는데 해외 투자에 대한 투자자 보호 조치는 미흡한 수준”이라며 “서학개미의 중소형주 중심 투자 역시 단기간 급등락폭이 클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